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만은 만병의 근원, 비만도 계산기를 알아보자

by 퓨어리진 2023. 2. 10.
반응형

 

비만은 만병의 근원

 

오늘 포스팅 주제는 비만도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장병 등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물론 다이어트라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는 게 기본이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결코 쉽지 않다. 설령 독하게 마음먹었다 하더라도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만약 혼자 힘으로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체질량지수(BMI) 검사


이때 유용한 게 바로 체질량지수(BMI) 검사다. BMI는 비만 판정 기준 가운데 하나로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비만도 계산법이 간단해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3 사이면 정상, 23~25 사이면 과체중, 25~30 사이면 경도비만,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BMI 수치가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관리해야 한다.

위와 같이 다행히 비만 여부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비만도 계산기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네이버, 다음 등에 인터넷 검색창에 '비만도 계산기'를 입력하면 된다. 성별 및 신장, 체중, 나이를 입력하면 BMI 지수라는 체질량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새해 다짐으로 다이어트를 결심했다면 우선 내 상태가 어떤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그래야 목표치를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위와 같이 비만도 계산기를 통해 나의 상태를 확인했고, 정상체중 범위라면 다행이지만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라면 서둘러 감량 계획을 세워야 한다. 

돌이켜보니 식사량 조절 없이 무작정 굶거나 무리하게 운동만 했던 것 같다. 물론 단기간에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긴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땐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니다. 우선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아침식사는 반드시 챙겨 먹고 저녁 8시 이후로는 금식하는 게 좋다. 그리고 주 4회 이상 꾸준히 운동하되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하도록 하자. 마지막으로 식단 관리인데 탄수화물 섭취량을 줄이고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짜는 게 바람직하다.

물론 단기간에 살을 빼겠다는 욕심은 금물이다. 무리한 식단 조절보다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서서히 줄여나가는 게 좋다. 아울러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말자.

매년 새해 목표로 다이어트를 결심하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지금까지도 요요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만큼은 반드시 성공하리라 다짐 또 다짐해본다.

오늘 비만도 계산기에 대한 주제에 대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