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년최저임금2

주휴수당 계산기 알아보기! 총 요약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인데요. 즉, 주휴일에는 근로 제공을 하지 않아도 되며,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월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 등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에 따라 주휴수당 지급 여부가 결정된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는 사업장 규모에 관계없이 주 1회 주휴(유급휴일)와 주휴수당을 받아야 하는데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휴일 및 주휴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는 세 가지 조건과 주휴수당 금액 산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소규모 오프라인 매장이나 식당 주인들은 정규직뿐만 아니라 아르바이트생도 고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주휴·.. 2023. 2. 18.
2023년 최저임금이 얼마인지 알아볼까요? 글 요약 2023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620원입니다. 복리후생비(식대, 교통비 등) 및 시간 외 근로수당, 연차수당 등은 반영되지 않은 금액이며 회사규정에 따라 주휴수당도 다르기 때문에 실제 주급/월급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최저임금제란?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의 최저임금 수준을 보장해 근로자의 삶을 안정시키고 노동의 질을 향상해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1953년 근로기준법이 제정되면서 제34조와 제35조가 최저임금제 시행의 근거를 마련했지만, 실제로는 1986년 12월 31일 최저임금법이 제정·공포돼 1988년 1월 1일부터 시행됐답니다. 2000년 11월 24일부터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 또는 사업장(친척만 함께 거주하는 사업장 및 가사근로자를 .. 2023. 2. 13.